-
목차
1. 엘니뇨와 라니냐, 왜 중요한가?
‘엘니뇨’와 ‘라니냐’는 단순한 해양 현상이 아닙니다. 이 두 단어는 지구 전체 날씨의 패턴을 바꾸는 핵심 열쇠이자, 우리나라의 폭염, 한파, 태풍, 장마 같은 기상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 현상입니다.
둘 다 적도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변화에서 비롯되며, 대기 흐름과 해양 순환을 함께 변화시킵니다.
기후위기가 가속화되는 지금, 엘니뇨와 라니냐의 주기와 강도는 더욱 주목받고 있으며,
농업·수산업·에너지 산업뿐 아니라 우리 일상까지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2. 엘니뇨란 무엇인가? – 뜨거운 바다가 만든 이상기후
엘니뇨(El Niño)는 스페인어로 '남자아이' 또는 '아기 예수'를 뜻합니다. 남미 페루 어부들이 크리스마스 무렵 갑자기 바닷물이 따뜻해지는 현상을 경험하면서 붙인 이름입니다.
✅ 과학적으로 보면
-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.5~1.5도 이상 상승
- 무역풍 약화 → 따뜻한 바닷물이 남미 쪽으로 이동
- 상승한 해수 온도는 대기의 순환 흐름까지 변화시킴
✅ 엘니뇨가 만들어내는 전 세계 영향
- 남미 서해안: 극심한 폭우, 홍수
- 인도네시아~호주: 가뭄, 산불
- 아시아 여름: 장마 패턴 변화, 집중호우
- 북미 겨울: 따뜻한 겨울
- 수산업 위기: 찬 해류가 약해지면서 플랑크톤 감소 → 어획량 급감
엘니뇨는 약 2~7년 주기로 발생하며, 일반적으로 9~18개월간 지속됩니다.
영향: 남미 홍수, 호주 가뭄, 아시아 장마 지연, 북미 겨울 온난화, 수산업 타격
3. 라니냐란 무엇인가? – 차가운 바다가 몰고 오는 반격
라니냐(La Niña)는 '여자아이'를 뜻하는 말로, 엘니뇨와 정반대 개념입니다. 이때는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.
✅ 라니냐의 핵심 메커니즘
- 무역풍이 강화되며 차가운 심해수가 해수면으로 올라옴
- 서태평양은 더 따뜻해지고 동태평양은 더 차가워짐
- 대기 순환이 동에서 서로 강해져 폭우와 가뭄 지역이 바뀜
✅ 라니냐가 불러오는 영향
- 호주, 인도네시아: 강우량 증가, 홍수
- 남미 서해안: 가뭄, 농업 생산성 하락
- 한국·동아시아: 한파, 폭설, 태풍 발생 빈도 증가
- 중앙아메리카·미국 남부: 폭우 및 허리케인 증가
라니냐는 평균적으로 8개월~1년 이상 지속되며,
엘니뇨와 번갈아 발생하거나 몇 년 연속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영향: 호주·인도네시아 폭우, 남미 가뭄, 한반도 겨울 한파·태풍 증가
4. 엘니뇨 vs 라니냐 비교 요약
구분 엘니뇨 라니냐 해수 온도 동태평양 수온 ↑ 동태평양 수온 ↓ 무역풍 약화 강화 동아시아 장마 지연, 집중호우 한파, 폭설, 태풍 증가 남미 서안 홍수 가뭄 수산업 어획량 감소 플랑크톤 증가 가능 이처럼 두 현상은 상반된 기상효과를 유발하며,
그 영향은 기후·생태계·경제 전반에 파급됩니다.5. 왜 우리가 주목해야 할까?
- 과거에는 엘니뇨·라니냐가 3~5년 주기로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났습니다.
하지만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빈도와 강도가 불규칙해지고 더 극단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.- 엘니뇨로 인한 폭우가 예측을 벗어나면서 도시 홍수 위험 증가
- 라니냐가 예상보다 길어져 태풍 발생 예측 실패 사례도 늘고 있음
- 한반도 여름 장마 지연이나, 겨울 혹한의 배경에 이 두 현상이 자리함
6. 우리에게 주는 경고
엘니뇨와 라니냐는 단순한 해양 온도 변화가 아닙니다.
기후 시스템이 변화하고 있다는 신호이자,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의 경고음입니다.이런 시대에 우리는:
- 기상 예보를 넘어 기후 데이터를 읽는 눈이 필요합니다.
- 기후 위기 교육, 탄소중립 실천, 정책 감시를 강화해야 합니다.
- 엘니뇨·라니냐 예측 시스템 투자를 늘려, 재난에 더 잘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.
요약
- 엘니뇨는 따뜻한 바닷물이, 라니냐는 차가운 바닷물이 지구의 날씨를 바꿉니다.
- 두 현상은 태풍, 폭우, 한파, 가뭄, 산불, 어획량 등 우리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.
- 기후변화가 이 현상들을 더 강하고 자주 만들고 있으며, 예측의 어려움도 증가 중입니다.
따라서 우리는 더 이상 뉴스 속 용어로만 접할 것이 아니라,
직접 대응하고 이해해야 할 ‘지구의 언어’로 받아들여야 할 때입니다.지구 평균기온 1.5도 상승, 인류에게 닥칠 5가지 위기
1. 지구 평균기온 1.5도 상승이란?지구의 평균기온이 1.5도 상승한다는 것은 단순한 숫자 변화가 아닙니다. 이는 지구 전체의 기후 시스템이 큰 변곡점을 맞이한다는 것을 뜻합니다. 산업화 이전
amyday-ad.com
'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구 평균기온 1.5도 상승, 인류에게 닥칠 5가지 위기 (0) 2025.04.23 기후변화란 무엇인가? 지구온난화와의 차이 (0) 2025.04.22 지구온난화의 또 다른 희생자, 기후난민의 현실과 미래 (0) 2025.04.20 기후변화가 불러 온 식량난 : 우리는 무엇을 먹게 될까? (0) 2025.04.20 기후변화가 부른 멸종위기, 사라진 동물들 (0) 2025.04.20